ca-pub-123

청년기본소득 외 꼭 챙겨야 할 청년 정책 3가지

📚 청년기본소득 시리즈
1편. 청년기본소득이란?
2편. 청년기본소득 vs 청년내일저축계좌
3편. 후기 & 자주 묻는 질문
👉 현재 글: 4편. 함께 챙겨야 할 청년 정책
청년기본소득 외 꼭 챙겨야 할 청년 정책 3가지

📌 1. 청년 월세 지원

월 최대 20만 원까지 12개월간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. 무주택 청년이라면 소득 요건만 충족하면 대부분 신청 가능합니다. 특히 대도시 거주 청년에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. 신청은 관할 지자체 또는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가능합니다.

📌 2. 청년도약계좌

매월 40만~70만 원씩 납입하면, 정부가 매칭 지원금을 더해 5년 후 최대 5,000만 원까지 수령할 수 있는 고금리 저축형 정책입니다. 청년기본소득과 달리 자산 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, 미래를 계획하는 청년에게 적합합니다.

📌 3. 청년내일채움공제

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이 2년간 근속하면 총 1,200만 원의 목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청년이 매월 12.5만 원씩 2년간 적립하면, 기업이 동일한 금액(300만 원)을, 정부가 600만 원을 추가로 적립하여
총 1,200만 원과 이자를 만기 시 수령하게 됩니다.

신청은 채용 후 6개월 이내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
워크넷 청년공제 신청을 통해 진행해야 하며, 자격 요건 심사에는 약 10영업일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.

다음 이전